본문 바로가기

고통

『문』 나쓰메 소세키 (비채, 2012) 의지하려 잡은 승강구 쇠파이프가 깜짝 놀랄 만큼 차가웠다는 건, 무엇을 말하고 싶어서였을까. 느리게 공간을 이동하고 느리게 시간을 훑는 제대권락(臍帶卷絡)의 앵글. 죽은 아이가 아니라 소스케 자신이 불안의 탯줄에 휘감겨 있다. 제로섬 게임. 그러나 즉시 혼합되고 잊어버리게 되는 카드놀음. 미음은 고유한 세계 안에 있다. 그것은 약동하는 생명처럼 소유자와 더불어 하나의 체계를 형성한다. 하지만 그 마음의 소유자가 의식적으로 지각하고 있는 것은 순수하게 그 마음에 들어앉지 않는다. 감각과 의식은 항상 재구성되므로. 함몰된 마음의 문(門)이다. 무엇인가를 의식할 때는 익숙하게 여기던 친숙함이 문제를 일으킬 때다. 소스케는 불안과 불안정, 불유쾌함과 부재(不在)의 와류 속에서 바동거리고 있다. 「가는 자는 가지.. 더보기
『전화』 로베르토 볼라뇨 (열린책들, 2010) 어디선가 등장하는 현재시제의 문체는 날것 그대로의 표현이며, 책을 이루고 있는 것은 전체적으로 불안한 영혼들의 불완전한 이야기. 옆구리를 툭 치면 활자화된 단어들이 눈에 보이게 우수수 떨어질 것만 같은 작가, 로베르토 볼라뇨의 단편집 『전화』. 그런데 아뿔싸, 나는 절대 함정에 걸려들면 안 된다고 다짐하면서도 그에게 빈틈을 보이는 빌미를 제공하고 만다. 그의 언어는 포물선을 그리며 도망갈 틈을 주는 것이 아니라 곧바로 머리 위를 향해 내리꽂기 때문이다. 그리고 나는 어느 글에서 영화감독 김기덕이 '나 역시 누구나 쾌락을 추구할 수는 있지만 그 쾌락의 진원지가 상대방의 고통이 되어선 안 된다고 생각해 왔다'라고 쓴 부분을 기억해내기에 이른다. 왜냐하면 『전화』에 등장하고 사라지는 인물들은 하나같이 약속이나..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