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책_롱

『궁극의 리스트』 움베르토 에코 (열린책들, 2010)


판사의 샘플 교정지를 본 게 지난 8월이었다. 그 때만 해도 『궁극의 리스트』가 이렇게 '징그러운' 책일 줄은 상상도 하지 못했다(맙소사!). 200점에 가까운 삽화와, 역시나 징그러운 뱀과 같은 인용 텍스트(인용문을 읽지 않아도, 인간이라면 응당 완벽하게 읽을 수 없으리라 확신하지만, 극악무도한 발췌로 인해, 아직 오지 않은 두려움에 두려워할 수밖에 없는). 그리고 저자가 밝힌, ㅡ 이 책은 '기타 등등'이라는 말로 끝날 수밖에 없다는 것이다(서문) ㅡ 시작부터 엄습하는 '궁극의 두려움.' ㅡ '기타 등등'이라는 단어는 우리에게 축복인 셈이다. 바흐의 「무한히 상승하는 카논」이나 에셔의 판화 작품들을 생각해 보라.



『궁극의 리스트』는 리스트, 즉 '목록의 의미'를 탐구한다. 목록의 의미란 건 어쩌면 욕망의 산물일 거다. 집을 나서기 전 장바구니에 넣을 것을 미리 적는 것, 읽어야 할 책 제목들을 소위 위시 리스트로 만드는 것, 그리고 여기에 다 열거할 수 없는 '기타 등등'의 목록을 작성하는 행위와 그 목록들! 그리고 이것은 ㅡ 전쟁과도 같고, 악마조차 굴복시킬 수 있는 이 책은 ㅡ 중심도 없고 가장자리도 없으며, 그래서 입구와 출구도 없(어 보이)는 리좀(rhizome)형 프레임을 본문에서 언급하고, 또 책 자체도 이 형태를 취하는 동시에 독자의 인내심의 역치 값을 자극한다. 왜냐하면 언뜻 보기에도 세상에 무한히 존재하는 목록들을 텍스트 안에 오롯이 목록들의 목록으로서 활자화한다는 것은 불가능한 일이고, 역시 서문에 나와 있는 것처럼 '목록을 조사하는 것은 어떻게든 우리가 이 책에 포함할 것을 추려 내는 작업이었다기보다는 제외해야 할 모든 것을 추리는' 작업인 셈이니까 말이다. 유한한 글자들로 무한의 조합을 만드는 것은 시작이 '유한'에서 출발하기에 신의 영역에 가까이 다가가려 한 행위라 한다면, 이 책의 집필 ㅡ 목록들의 목록을 만드는 것 ㅡ 은 애초에 그 발단이 '무한'에 있기 때문에 신의 능력을 거부하고 그것을 뛰어넘으려 한 게 아닐까. 그래서 더욱 불가능에 가까운 것으로 귀결되고 말이다 ㅡ 그렇다고는 해도 로스앤젤레스를 '기타 등등'의 도시이며 '목록 도시'라 설명한 부분은 정말 멋지지 않은가?



저자는 수많은 그림과 글 등(역시 기타 등등)에서 무한을 암시하는 목록들을 뽑아낸다 ㅡ 흥미로운 사실은, 고대 중국에 '목록학'이라는 학문이 존재했다는 것이며, 'list'란 단어가 '마음에 들다', '바라다'란 뜻도 지니고 있다는 거다. 그리고 인간의 (무언가를 범주화시키려는) 욕망이 복잡해지는 사회를 만남으로써 거침없이 똬리를 트는, 그 목록(의 작성)들의 의미를 역설한다. 물론 ㅡ 목록의 텍스트를 얼마나 압축하고 걸러냈는가 하면, 고작(!) 400여 쪽에 불과한 끝맺음을 보면 알 수 있다 ㅡ 계속해서 '무한'이라는 단어를 반복하고 있는 것처럼 이 '유한한' 한 권의 책이라는 형태로 온전히 표현할 수는 없다. 무한한 것을 유한성에 입각해 집어넣은, 무한성을 띠는 유한한 이 책을, 다시 무한할 수밖에 없는 감상과 상념을 유한한 글로 쓰려 하는 지금의 이 시도 역시 기타 등등 ㅡ 여기서의 '기타 등등'은 다소간의 의미를 함축한다 ㅡ 으로 끝나겠지만. 우리는, 왜 목록을 만들기 시작했으며 그것에 매달리고 의미를 부여해 왔는가 하고 질문하는 동시에, 그것은 질서를 추구하는 욕구와 대상의 이해라는 큰 개념으로 (일단은) 대답할 수 있다. 그렇다면 그러한 목록들에는 제각각 의미가 있을 터인데, 그 '목록의 의미'를 알아보자면 이야기는 걷잡을 수 없이 커지지 않을까? 어쩌면, 그래서 이 『궁극의 리스트』는 (어쩔 수 없이) 불가능한 것을 추적하는 어트리뷰트가 아닐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