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김기덕

『낯익은 타인들의 도시』 최인호 (여백, 2011) 낯익은 타인들의 도시 - 최인호 지음/여백(여백미디어) 주인공 K는 그 이니셜처럼 삼진 아웃을 당하지는 않는다_아내와의 전야제에서도_K1과 K2의 합체에서도. K의 도시는 타인과 내가 교차하는 절벽이다. 그래서 나는 이렇게 본다_아내는 아내가 아니고_딸은 딸이 아니고_강아지는 강아지가 아니라고 느끼는 K는 K가 아니라고. 영화 《파란 대문》의 한 장면_진아가 모래에 파묻혀 있던 그 모습이 생각난다. 자신만의 세계에 갇혀 있지만 그것은 자신을 밖으로 드러내는 것이라는 동의어로 보였던 그 얼굴을. 더보기
『나꼼수로 철학하기』 김성환 (바다출판사, 2012) 나꼼수로 철학하기 - 김성환 지음/바다출판사 나꼼수, 나꼼수……. 나는 '나꼼수(나는 꼼수다)'를 제대로 들어본 적이 없다. 2012년에 들어서야 1회를 찾아 약 5분 가량 맛만 봤다. 그리고 스피커를 꺼버렸다. 딱히 재미가 없어서는 아니고. 욕도 '뭘 좀 알아야' 할 수 있는 거다(나꼼수 = 욕이라는 논리는 아니다) ㅡ 나중에 보면 꼭 투표 안 한 양반들이 제일 말이 많으니까. 그러니까 팩트를 알고 의심을 가져야만 욕이라는 애정도 생긴다. 그럼 내가 나꼼수를 듣지 않은 이유는? 예전에 한겨레신문의 '직설'이라는 꼭지가 있었는데 이건 그때와 마찬가지 경우다. 「조금만 시간이 지나면 나꼼수에 대한 책들이 무더기로 쏟아질 것이다.」 이런 생각을 했다. 아니나 다를까, 정말 나왔다 ㅡ 솔직히 나꼼수를 듣지 않.. 더보기
『짐승의 길(전2권)』 마쓰모토 세이초 (북스피어, 2012) 누군가는 그렇고 그런 치정을 다룬 B급소설이라고 할는지도. 그래도 어쩔 수 없다. 일단 재미있으니까. 나는 트릭을 풀고 범인을 밝혀내는 것보다 이쪽이 훨씬 세련됐다, 뭐 그런 생각이다. ‘이야기’가 있잖나. 단 한번이라도 이름이 언급된 인물은 책동의 기미를 보이고, 나라도 그럴 수 있으려나, 하는 ‘텍스트 vs(and) 현실’의 일말의 끈이 있으니까 말이다. 집에 병자가 없었으면 좋겠다는 다미코의 생각은 나도 (경험해봐서)안다. 그래서 얼마든지 실현 가능성이 있다는 충분조건이 구비되어 있다. 단, 저 뒤에서 ‘노인의 고독’(하권 p.300)을 깨달았다면 남편의 고독 또한 알아줬으면 하는 마음 또한 생긴다 ㅡ 어느 쪽이건 그녀가 씁쓸해지기만 하지만 역시 세이초의 여성 심리묘사는 탁월하다 못해 정말이지 천재.. 더보기
『햄버거에 대한 명상』 장정일 (민음사, 2002) 햄버거에 대한 명상 - 장정일 지음/민음사 고삐리 시절 처음 읽은 뒤 이상하리만치 기억에 또렷이 남아 다시 구입_거의 10년 만에 다시 느끼는 『햄버거에 대한 명상』에 대한 명상. 어떤 말로 표현해도 항상 '과잉'이란 단어를 붙이지 않으면 안 될 것 같은 작품들. 우월감과 열등감_주저하게 만드는 것들_해체와 파괴_미끄덩거리는 싼 티_쓰레기처럼 느껴지기도 하는 재치_세상 끝남에 대면한 어린이_정신병과도 같은 이율배반_뷰티풀 판타지에 대한 찬양_그리고 개새끼/개새끼들. 더보기
『전화』 로베르토 볼라뇨 (열린책들, 2010) 어디선가 등장하는 현재시제의 문체는 날것 그대로의 표현이며, 책을 이루고 있는 것은 전체적으로 불안한 영혼들의 불완전한 이야기. 옆구리를 툭 치면 활자화된 단어들이 눈에 보이게 우수수 떨어질 것만 같은 작가, 로베르토 볼라뇨의 단편집 『전화』. 그런데 아뿔싸, 나는 절대 함정에 걸려들면 안 된다고 다짐하면서도 그에게 빈틈을 보이는 빌미를 제공하고 만다. 그의 언어는 포물선을 그리며 도망갈 틈을 주는 것이 아니라 곧바로 머리 위를 향해 내리꽂기 때문이다. 그리고 나는 어느 글에서 영화감독 김기덕이 '나 역시 누구나 쾌락을 추구할 수는 있지만 그 쾌락의 진원지가 상대방의 고통이 되어선 안 된다고 생각해 왔다'라고 쓴 부분을 기억해내기에 이른다. 왜냐하면 『전화』에 등장하고 사라지는 인물들은 하나같이 약속이나..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