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문학

『세 개의 그림자』 시릴 페드로사 (미메시스, 2012) 세 개의 그림자 - 시릴 페드로사 지음, 배영란 옮김/미메시스 트레이드오프(trade-off)라고 하면 맞아죽을지도 모른다. 『세 개의 그림자』는 무척이나 거대한 담론이기에, 기괴하고 슬픈 생명과 사랑의 오마주니까, 한갓 얄팍한 용어 따위로, 게다가 주제파악도 제대로 되지 않은 말 꾸밈새로 오독하는 것이 가당키나 할까. 하잘것없는 나무도 아니고 그저 지나가는 여행객도 아닌 세 개의 그림자 ㅡ 로댕의 '세 그림자' 혹은 '세 악령'과 과연 연관이 있을지 없을지는 모르지만 ㅡ 는 결국 사랑스런 아이를 데려가고, 리즈는 루이에게 「두려움과 분노만으론 우리 아이를 지킬 수 없다 (...) 아이는 곧 우리 곁을 떠날 거고, 난 준비가 됐지만 당신은 그렇지 않다」고 한다. 『세 개의 그림자』는 부모의 사랑에서도 특.. 더보기
『페르소나』 그웨나엘 오브리 (열린책들, 2012) 페르소나 - 그웨나엘 오브리 지음, 임미경 옮김/열린책들 ㉠ 관념운동(觀念運動)처럼 써버리고야 마는 엇비낀 페르소나,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하는 갖가지 목소리들에 의해 굳건해진 세계, '소설로 쓸 것'이란 아버지의 메시지. ㉡ 낡은 종이가 발산하는 광채는 한순간에 재탄생이란 영원성으로 변모하지만 아버지의 딸이 느끼는 내부에서의 되살아남은 과연 무엇일까. ㉢ '더 이상은' 그 누군가가 되지 않을 권리, 위험천만한 자갈투성이의 상념들, 그리고 아버지의 자식이 여기, 이렇게 남아있다. ㉣ 루 ㅡ 이름, 아버지로부터 받은 성 앞에 붙는 이름, 더 정확히 말해 아버지의 딸이 아기였을 때 그가 딸을 부르던 이름 ㅡ 의 의식을 파편으로 만들어버리는(재구성하는) 과거와 현재. ㉤ 메모 덩어리는 그렇게 역사를 쌓고, 시간.. 더보기
『영원의 아이(전2권)』 덴도 아라타 (북스피어, 2010) 영원의 아이 - 상 - 덴도 아라타 지음, 김소연 옮김/북스피어 어덜트 칠드런(일본에서 사용하는 한정된 의미가 아닌)의 이야기다. 그리고 「부모를 기쁘게 하고 싶다 (...) 의식 밑바닥에, 실은 '네가 열심히 하라고 말했기 때문이다'라는, 분풀이와도 비슷한 분노의 감정이 숨어 있지는 않을까 (...) 봐, 난 이렇게 하고 있어. 어때, 칭찬해, 인정하란 말이야」라는 료헤이의 상념이 이승환의 노랫말 ㅡ '어떡해야 내가 부모님의 맘에 들 수가 있을지'(「가족」) ㅡ 을 만나면 참 우스운 꼴로 변하기도 한다. 실은 영화 《굿 윌 헌팅》에서 숀이 윌에게 했던 그 한마디면 충분하다. 「It's not your fault.」 아이와 마찬가지로 부모 역시 빈약한 존재라고 여겨지기 때문에 동병상련의 그 '련(憐)'의.. 더보기
『오래오래』 에릭 오르세나 (열린책들, 2012) 오래오래 - 에릭 오르세나 지음, 이세욱 옮김/열린책들 야들야들하다고 말하겠다(설명할 길은 없고, 그저 '야들야들해 보이는' 첩어가 생각났는데 그게 '야들야들'이다) ㅡ 책을 덮은 후의 내 사고가 월러의 『매디슨 카운티의 다리』는 청교도적 환상이었구나, 하는 결론으로 흘렀기 때문에 그런지도 모를 일이다. 가브리엘의 오랜 사랑인 빨간 후드 여인을 놓고 격투를 벌일 때 그의 주먹이 왜 상대의 눈과 코만을 향했는지 생각해보라. 아마도 소설의 어느 사건을 둘러봐도 이만큼 격정적인 장면은 없겠지만(섹스할 때? 흠, 그렇다면 이 책을 잘못 읽은 것이다) 거웃의 덤불숲 앞에서 후퇴하고 공격하고 논쟁하고 휴전하는 상설시장 같은 리듬이 어디에 또 있을지를. 원래부터가 나는 이런 것들을 이해할 수 없었으나 오래전 결혼한 .. 더보기
『산도칸 몸프라쳄의 호랑이들』 에밀리오 살가리 (열린책들, 2008) 산도칸 - 에밀리오 살가리 지음, 유향란 옮김/열린책들 산도칸 시리즈_중의 하나인데 다른 작품들이 아직 국내에 번역되지 않았다. 빌어먹을. 더보기